본 아티클은 2025.02.11 [AI로 쉬워지는 학생 맞춤형 교육 우수 사례 웨비나] 내용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서 클라썸의 역할
오늘날 교육 환경은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교수자는 점점 더 많은 역할을 요구받고, 학생들은 개인별 맞춤형 학습을 원합니다. 김민경 교수님은 다양한 에듀테크와 AI 도구를 탐색하던 과정에서, 학생 참여와 맞춤형 학습에 최적화된 클라썸을 선택했습니다. 강의실을 하나의 소셜 미디어처럼 운영하며 학생들과 활발히 소통하는 새로운 교육 방식을 도입하기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클라썸이 가장 적합했기 때문입니다. 교수님이 주로 활용하신 클라썸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익명 질문 기능: 학생들이 부담 없이 질문할 수 있어 수업 중 자유로운 의견 교환이 가능합니다.
맞춤형 자료 제공: 각 학생의 수준에 맞춘 자료를 공유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실시간 데이터 분석: 학생 참여율과 학습 패턴을 분석해 강의 전략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플립 러닝 지원: 사전 동영상 시청 후 질문 기반 강의를 설계하여 학생 참여를 활성화합니다.
학생 참여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
앞서 소개한 클라썸의 기능은 분명 도움이 되지만 학생들과 활발히 소통하고, 나아가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방식을 어떻게 만들 수 있었을까요? 교수님이 강의를 준비하고 학생들과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업 전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맞춤형 자료를 준비했습니다. 학생 의견을 존중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설문조사 결과를 반드시 공유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고 있음을 체감하며, 참여 의욕을 더욱 높일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이 원하는 부분을 금방 찾을 수 있도록, 강의의 핵심을 담은 1-2분정도의 짧은 강의 영상을 클라썸에 업로드해 반복 학습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학생들이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때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을 고려해, 클라썸 웹과 앱을 활용해 최대한 신속한 피드백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질문과 피드백을 클라썸에서만 관리하며, 이를 학습 자료로 축적했습니다.
익명 기능을 활용해 상호작용에 대한 허들을 낮추고, 스스로 질문을 올리고 답변을 주고 받도록 유도했습니다. 학생들은 점차 서로 질문에 대한 답을 달아주며 자연스레 심화학습으로 이어졌습니다.
클라썸 LXP로 실현된 자기주도 학습
클라썸 도입 이후, 김민경 교수님의 강의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질문하고 답변하며 학습 효과가 향상되었습니다. 소통 중심 학습 방식에 만족한 학생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했고, 강의 평가 점수가 상승하는 결과를 만들었습니다. 이 사례는 클라썸이 단순한 학습 도구를 넘어, 자기주도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수업 참여도가 가장 중요한 곳에서 클라썸 LXP는 가장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학습 플랫폼입니다.